제자 삼는 6가지 심플한 방법 – 시저 칼리노브스키 
6 Simple Ways To Make Disciples – Caesar Kalinowski 
(교회의 자매가 번역하고 다듬은 글을 올립니다) 

Caesar Kalinowski shares six simple ways to make disciples without adding anything to your schedule. In the video clip below he says, 
시저 칼리노브스키는 특별한 일정을 만들지 않고도 제자를 삼을 수 있는 6가지 심플한 방법을 가르쳐준다. 아래의 비디오클립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Let me give you six rhythms we’ve been using in community… 

“우리 공동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6가지 리듬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First one is Know the Story. Okay, we all have a story. Is our story a part of God’s story or are we believing a different story that’s been told to us by maybe our parents, our boss, people growing up, the culture? Do we know God’s story as a story? We need to. If we’re going to be living as disciples who make disciples, we need to know God’s story. We need to get to know each other’s story deeply enough to apply the gospel…
첫 번째 리듬은, ‘스토리 알기’ 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모두는 스토리 즉, 이야기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의 스토리는 하나님의 스토리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을까요, 아니면 우리는 그것과는 다른 스토리, 그러니까 우리의 부모님, 우리의 상사, 사람들, 문화에 의해서 전해진 스토리를 믿고 있을까요? 우리는 하나님의 스토리를 하나의 스토리로, 이야기로 알고 있을까요? 우리는 그렇게 알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제자를 삼는, 그런 제자로 살아가려면 우리는 하나님의 스토리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복음을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깊이, 서로의 이야기를 알아가야 합니다. 

That leads us to another rhythm of Listening. We’re always listening to someone, but are we listening to God…We need to listen backwards through the Word of God—Who is God? How has He always been? We need to listen forward through the Holy Spirit. Like my prayer times are mostly filled up with me telling God what to do, then I shoot off into my day. But to cultivate a rhythm of listening to God and in community is how you get to know peoples stories…
첫 리듬은 ‘들어주기/귀 기울이기’라는 다음 리듬으로 이어집니다. 우리는 언제나 어떤 사람의 말을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하나님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있는지요… 우리는 뒤돌아보듯이 하나님의 말씀(성경)을 통해서 들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하나님은 항상 어떤 분이셨는가? 우리는 내다보듯 성령님의 음성을 통해서 들어야 합니다. 저의 기도처럼, 기도 시간 대부분은 하나님께 뭔가를 해달라고 말하는 것으로 채워지고 난 후 급히 바쁜 일정으로 떠나버립니다. 하나님께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 귀 기울이기의 리듬을 함양하는 일은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알게 되는 것을 통해서입니다. 

Next rhythm: Celebrate. Life is living in a rhythm of celebration. Think about all the holidays that are just coming around, and birthdays (everybody you know has one), and anniversaries, and graduations, and all. We need to join those celebrations and be the bringers of the better wine…Throw the best parties. 
The church should be the most celebratory people of the planet. We get to live forever! Party!
다음 리듬은 ‘기념하기’ 입니다. 삶은 축하하고 기념하는 리듬 안에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가까이 다가온 모든 공휴일, 생일(당신이 아는 사람들 모두가 가지고 있겠죠), 그리고 결혼 기념일과 졸업식 같은 일들에 대해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그런 축하와 기념에 참여하고 더 좋은 포도주를 내어 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최고의 축하파티를 여십시오. 
교회는 지구상에서 가장 기념하기를 좋아하고 잘하는 사람들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영원히 살게 될 테니까요! 야호! 파티를 여는 겁니다! 


Rhythm of Eating. Talk about moving from additional to intentional. We’re already eating like 21 times a week…What if I were to have three meals a week with people I’m trying to make disciples of? 
그리고 ‘식사하기’라는 리듬이 있습니다. 식사 모임을 하나 추가하라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식사 시간을 가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우리는 이미 일주일에 약 스물 한 번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만일 일주일에 단 세 번의 식사만이라도 제자 삼으려는 사람들과 함께 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Then this rhythm of Bless…Ask the spirit to reveal to you three people that you could bless intentionally each week through either words, action, or gift. Imagine a community of people in a neighborhood, like ten or twelve, all blessing three people a week. You think that neighborhood would notice? It’ll transform a place. 
다음은 ‘축복하기’의 리듬입니다. 성령님께 당신이 일주일 동안 의도적으로, 말이나 행동이나 선물을 통해 축복할 수 있는 세 사람을 보여달라고 구하십시오. 이웃에 열 명, 열두 명 정도로 이루어진 공동체가 일주일에 세 명씩 서로 축복한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이웃들이 공동체를 주목하게 되지 않을까요? 축복하는 공동체는 그 곳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This last rhythm is ReCreate. It’s this idea of rest in Christ’s completed work and then out of that we create beauty and we work and we create value. Resting in what Christ has done for us, not to earn, but then we work. It’s the idea of sabbath."
마지막 리듬은 ‘다시 창조하기’ 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일 안에서 편히 쉬고 그 쉼을 바탕으로 우리는 아름다움을 창조하며, 일하며, 가치를 창조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일들 안에서 쉰다는 것(안식)은 돈 버는 것이 아니라 쉬고 나서 우리가 일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이 안식일의 뜻입니다." 





+ Recent posts